BCS media

BCS NEWS

백세범 교수 연구팀,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작성자 Admin
  • 작성일 2023.08.07
  • 조회수 375

(왼쪽부터) 뇌인지과학과 백세범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이현수 박사과정, NYU 신경과학과 최우철 박사

< (왼쪽부터) 뇌인지과학과 백세범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이현수 박사과정, NYU 신경과학과 최우철 박사 >

 

뇌의 선천적 인지 기능들은 학습이나 훈련 없이 신경망의 구조적 특성으로부터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인가? 

우리 학과 백세범 교수 연구팀이 두뇌에서 발견되는 선천적 수량 비교 능력이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했다고 7일 밝혔다. 

 

주어진 사물들의 수량을 비교하는 기능은 동물이나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능력이다동물 그룹 간 다툼사냥먹이 수집 등 많은 상황에서 주어진 변수들의 수량 비율이나 차이에 따라 동물들의 의사결정 및 행동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학습을 거치지 않은 어린 개체들의 행동 관찰로부터 수량 비교 능력은 두뇌의 선천적 기능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이러한 능력이 학습 없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백세범 교수 연구팀은 두뇌 모사 인공신경망 모델을 활용해학습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심층신경망 구조에서 시각적 수량 비율 및 차이 정보의 인지 기능이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또한 두 수량의 비율과 차이라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이 하나의 공통적인 발생 원리로부터 파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 이현수 박사과정, NYU 신경과학과 최우철 박사가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Cell)’의 온라인 자매지 셀 리포츠(Cell Reports)’ 7월 29일 자에 게재됐다. (논문명: Comparison of visual quantities in untrained neural networks)

그림 1. 두뇌 모사 신경망 모델에서 수량 비교 기능의 자발적 발생을 설명하는 그림

< 그림 1. 두뇌 모사 신경망 모델에서 수량 비교 기능의 자발적 발생을 설명하는 그림 >

 

연구팀은 먼저 전혀 학습을 거치지 않은 신경망에서 두 수량의 비율과 차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개별 신경세포가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초기화된 심층신경망에서 다양한 비율 혹은 차이를 가지는 시각적 수량 정보가 주어졌을 때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신경세포들이 다수 발견되며이들로부터 측정된 신경 활동은 실제 동물 실험에서 관측된 신경 활동 특성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또한 연구팀은 이를 이용하여 지금까지 보고되어 온 동물들의 수량 비교 행동 특성을 상당 부분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더해연구팀은 수량 비교 기능 신경세포 회로 구조의 발생 원리를 계산신경과학적 모델을 통해 설명하고 검증했다신경망에서 발견된 비율/차이 선택적 신경세포의 특징적 연결구조를 분석해특정 값에 대한 선택성이 신경망 하위 계층에서 자발적으로 발생된 단순 증가단순 감소 신경 활동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였다또한 이러한 신경 활동이 증가감소할 때 관찰되는 비선형성의 타입에 따라 각각 수량 비율 또는 수량 차이를 인지하는 신경세포로 분화될 수 있음을 연구팀은 확인했다.

그림 2. 수량 비교 기능 세포의 발생원리를 묘사하는 그림

< 그림 2. 수량 비교 기능 세포의 발생원리를 묘사하는 그림 >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연구팀은 학습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두뇌에서 비율/차이 인지와 같은 선천적 수량 비교 기능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시했다. 

 

백세범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상당한 정도의 학습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 여겨지던 두뇌의 수량 인지 및 비교연산 기능이 그 어떤 학습도 이뤄지지 않은 초기 두뇌의 구조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이는 연구라며, “발생 초기 신경망의 구조적/물리적 특성으로부터 다양한 선천적 고등 인지 기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뇌신경과학 연구뿐 아니라 새로운 개념의 인공지능 연구에도 의미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그림 3. 동물의 행동에서 관측되는 수량 비교 기능을 묘사하는 사진

< 그림 3. 동물의 행동에서 관측되는 수량 비교 기능을 묘사하는 사진 >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및 원천기술개발사업, KAIST 특이점교수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